KNUKNU에너지자원공학과

KANGWON NATIONAL UNIVERSITY

모바일메뉴 열기 모바일 메뉴 닫기
 
 

편성교과목

교과 과정 검색 조건
교과과정
학년/학기 이수구분 교과목번호 교과목명 학점 강의 실습(설계) 교과목개요
1/1학기 전선 4134151
진로탐색과꿈-설계 (Career Planning)
  • 학년/학기 : 1/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4151
  • 교과목명 : 진로탐색과꿈-설계 (Career Plann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1-1-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진로탐색과 꿈-설계는 내가 선택한 전공 안에서 진로에 대한 고민과 탐색을 진행하는 교과목으로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바탕으로 전공을 이해하고, 전공 진로목표를 탐색·설정·준비하는 전체 과정을 다룬다.

    • English

      Career Choice and Dream-Design is a curriculum that concerns and explores careers within my chosen major. It covers the entire process of understanding majors based on one's aptitude and interests, and finding, setting, and preparing career goals.

    닫기
1 1 0 상세보기
  • 국문

    진로탐색과 꿈-설계는 내가 선택한 전공 안에서 진로에 대한 고민과 탐색을 진행하는 교과목으로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바탕으로 전공을 이해하고, 전공 진로목표를 탐색·설정·준비하는 전체 과정을 다룬다.

  • English

    Career Choice and Dream-Design is a curriculum that concerns and explores careers within my chosen major. It covers the entire process of understanding majors based on one's aptitude and interests, and finding, setting, and preparing career goals.

닫기
1/2학기 전선 4134150
창의설계 (Creative Design)
  • 학년/학기 : 1/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4150
  • 교과목명 : 창의설계 (Creative Desig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0-0-(3)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미래 공학자로서 기초적인 자질 중의 하나인 창의적인 공학설계를 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이를 위해 공학설계의 의미와 접근 방법에 관한 지식을 습득한다.

    • English

      This class helps the students to develop the ability for creative engineering designs. The students acquire the knowledge about the meaning and the ways how to design creatively. Both of personal and team designs are carried out.

    닫기
3 0 0 (3) 상세보기
  • 국문

    미래 공학자로서 기초적인 자질 중의 하나인 창의적인 공학설계를 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이를 위해 공학설계의 의미와 접근 방법에 관한 지식을 습득한다.

  • English

    This class helps the students to develop the ability for creative engineering designs. The students acquire the knowledge about the meaning and the ways how to design creatively. Both of personal and team designs are carried out.

닫기
2/1학기 전선 4134088
지하공간공학 (Underground Space Engineering)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4088
  • 교과목명 : 지하공간공학 (Underground Space Engineer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고대와 중세의 지하공간 활용, 지하공간 개발 기술의 발전사, 지속가능한 지하공간의 미래전망 등을 학습하고, 국내 지하공간 건설 및 활용 사례에 대해서 학습한다.

    • English

      This course studies the use of ancient and medieval underground spaces, the history of underground space development technology, and future prospects of sustainable underground spaces, and talks about design, construction and use cases of domestic underground space.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고대와 중세의 지하공간 활용, 지하공간 개발 기술의 발전사, 지속가능한 지하공간의 미래전망 등을 학습하고, 국내 지하공간 건설 및 활용 사례에 대해서 학습한다.

  • English

    This course studies the use of ancient and medieval underground spaces, the history of underground space development technology, and future prospects of sustainable underground spaces, and talks about design, construction and use cases of domestic underground space.

닫기
2/1학기 전선 4134124
자원순환개론 (Introduce to Resources Recycling)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4124
  • 교과목명 : 자원순환개론 (Introduce to Resources Recycl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지속가능한 사회구축에 필요한 전략금속의 재자원화, 유해원소의 제거 및 감량화에 필요한 기술의 원리와 응용공정에 대해 학습한다

    • English

      For the purpose of sustainable society, we learn about the principles and the related technologies for recycling of critical metals, removal and restriction of hazardous elements in this subject.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지속가능한 사회구축에 필요한 전략금속의 재자원화, 유해원소의 제거 및 감량화에 필요한 기술의 원리와 응용공정에 대해 학습한다

  • English

    For the purpose of sustainable society, we learn about the principles and the related technologies for recycling of critical metals, removal and restriction of hazardous elements in this subject.

닫기
2/1학기 전선 4134136
에너지자원공업수학1 (Energy and Resources Engineering Mathematics 1)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4136
  • 교과목명 : 에너지자원공업수학1 (Energy and Resources Engineering Mathematics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에너지자원공학 분야의 전공과목 수강을 위한 전문적인 수학 및 물리적 활용 도구를 이해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지식을 습득

    • English

      Understanding professional mathematics and physical application tools for taking major courses in the field of Energy and Resource engineering and acquiring basic knowledge to utilize them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에너지자원공학 분야의 전공과목 수강을 위한 전문적인 수학 및 물리적 활용 도구를 이해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지식을 습득

  • English

    Understanding professional mathematics and physical application tools for taking major courses in the field of Energy and Resource engineering and acquiring basic knowledge to utilize them

닫기
2/1학기 전선 4134157
에너지와기후변화 (Energy and Climate Change)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4157
  • 교과목명 : 에너지와기후변화 (Energy and Climate Chang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에너지자원의 개발이 지구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기초지식을 습득한다.

    • English

      Understand the impact of energy resource development on the global environment and climate change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에너지자원의 개발이 지구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기초지식을 습득한다.

  • English

    Understand the impact of energy resource development on the global environment and climate change

닫기
2/2학기 전필 4134006
물리탐사및실험 (Geophysical Exploration and Laboratory)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134006
  • 교과목명 : 물리탐사및실험 (Geophysical Exploration and Laborator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2-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지구물리탐사의 일반적 원리 및 탐사 방법에 관하여 연구한다. 지구물리탐사에 이용되는 중력, 자력 및 전자파 탐사 및 이론에 역점을 둔다.

    • English

      The general principles of geophysical exploration and methods of exploration are studied. The emphasis is placed on the gravitational,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exploration and theory used in geophysical exploration.

    닫기
3 2 2 상세보기
  • 국문

    지구물리탐사의 일반적 원리 및 탐사 방법에 관하여 연구한다. 지구물리탐사에 이용되는 중력, 자력 및 전자파 탐사 및 이론에 역점을 둔다.

  • English

    The general principles of geophysical exploration and methods of exploration are studied. The emphasis is placed on the gravitational,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exploration and theory used in geophysical exploration.

닫기
2/2학기 전선 4134109
에너지자원응용역학 (Applied Mechanics for Energy Resource Engineers)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4109
  • 교과목명 : 에너지자원응용역학 (Applied Mechanics for Energy Resource Engineer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에너지자원의 개발과 관련한 심화전공 교과목에서 필수적으로 요구하는 탄성학 및 열역학 등을 강의하며, 에너지자원공학도로서의 공학적 분석능력을 배양한다.

    • English

      Elastisty and mechanics are essential for students who are studying on the development of energy resourses. This class includes these basic theories which are mandatory in future intensive classe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에너지자원의 개발과 관련한 심화전공 교과목에서 필수적으로 요구하는 탄성학 및 열역학 등을 강의하며, 에너지자원공학도로서의 공학적 분석능력을 배양한다.

  • English

    Elastisty and mechanics are essential for students who are studying on the development of energy resourses. This class includes these basic theories which are mandatory in future intensive classes.

닫기
2/2학기 전선 4134137
에너지자원공업수학2 (Energy and Resources Engineering Mathematics 2)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4137
  • 교과목명 : 에너지자원공업수학2 (Energy and Resources Engineering Mathematics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에너지자원공학 분야의 전공과목 수강을 위한 전문적인 수학 및 물리적 활용 도구를 이해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지식을 습득

    • English

      Understanding professional mathematics and physical application tools for taking major courses in the field of Energy and Resource engineering and acquiring basic knowledge to utilize them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에너지자원공학 분야의 전공과목 수강을 위한 전문적인 수학 및 물리적 활용 도구를 이해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지식을 습득

  • English

    Understanding professional mathematics and physical application tools for taking major courses in the field of Energy and Resource engineering and acquiring basic knowledge to utilize them

닫기
2/2학기 전필 4134141
에너지환경지질 (Energy Environment and Geology)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134141
  • 교과목명 : 에너지환경지질 (Energy Environment and Geolog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지중환경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지질학적 현상을 이해하고 변화하는 지구환경과 에너지자원의 개념을 이해한다.

    • English

      Understand various geological phenomena and fundamental knowledge of Energy resources and the Earth environment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지중환경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지질학적 현상을 이해하고 변화하는 지구환경과 에너지자원의 개념을 이해한다.

  • English

    Understand various geological phenomena and fundamental knowledge of Energy resources and the Earth environment

닫기
2/2학기 전선 4134148
에너지자원경제학 (Energy Resource Economics)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4148
  • 교과목명 : 에너지자원경제학 (Energy Resource Economic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에너지자원경제학은 자원경제학의 기본 이론을 바탕으로 에너지자원과 경제성장의 관계, 자원고갈성과 외부효과, 에너지자원 시장과 경제성 평가, 그리고 자원산업과 정책을 학습한다. 이론적 이해와 함께 실제 사례분석과 경제성 평가 실습을 통해 에너지자원 분야의 실무적 문제해결 능력을 배양한다.

    • English

      Energy Resource Economics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energy resources and economic growth, resource depletion and externalities, energy resource markets and economic evaluation, and resource industries and policies, based on the fundamental theories of resource economics. Through theoretical understanding combined with case studies and hands-on practice in economic evaluation, students develop practical problem-solving abilities in the field of energy resource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에너지자원경제학은 자원경제학의 기본 이론을 바탕으로 에너지자원과 경제성장의 관계, 자원고갈성과 외부효과, 에너지자원 시장과 경제성 평가, 그리고 자원산업과 정책을 학습한다. 이론적 이해와 함께 실제 사례분석과 경제성 평가 실습을 통해 에너지자원 분야의 실무적 문제해결 능력을 배양한다.

  • English

    Energy Resource Economics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energy resources and economic growth, resource depletion and externalities, energy resource markets and economic evaluation, and resource industries and policies, based on the fundamental theories of resource economics. Through theoretical understanding combined with case studies and hands-on practice in economic evaluation, students develop practical problem-solving abilities in the field of energy resources.

닫기
3/1학기 전선 4134058
산업체현장실습1 (Field Training 1)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4058
  • 교과목명 : 산업체현장실습1 (Field Training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1-0-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에너지자원공학전공에서 다루는 실무관련 과정을 산업체와 연계하여 종합적으로 구성, 실제 산업현장에서의 다양한 실습을 통하여 현장적용 및 실무능력을 배양한다.

    • English

      This course is designed to comprehensively organize practical courses related to energy resource engineering majors with industry, and to cultivate field application and practical ability through various exercises in actual industrial sites.

    닫기
1 0 2 상세보기
  • 국문

    에너지자원공학전공에서 다루는 실무관련 과정을 산업체와 연계하여 종합적으로 구성, 실제 산업현장에서의 다양한 실습을 통하여 현장적용 및 실무능력을 배양한다.

  • English

    This course is designed to comprehensively organize practical courses related to energy resource engineering majors with industry, and to cultivate field application and practical ability through various exercises in actual industrial sites.

닫기
3/1학기 전선 4134059
산업체현장실습2 (Field Training 2)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4059
  • 교과목명 : 산업체현장실습2 (Field Training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3-0-6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에너지자원공학전공에서 다루는 실무관련 과정을 산업체와 연계하여 종합적으로 구성, 실제 산업현장에서의 다양한 실습을 통하여 현장적용 및 실무능력을 배양한다.

    • English

      This course is designed to comprehensively organize practical courses related to energy resource engineering majors with industry, and to cultivate field application and practical ability through various exercises in actual industrial sites.

    닫기
3 0 6 상세보기
  • 국문

    에너지자원공학전공에서 다루는 실무관련 과정을 산업체와 연계하여 종합적으로 구성, 실제 산업현장에서의 다양한 실습을 통하여 현장적용 및 실무능력을 배양한다.

  • English

    This course is designed to comprehensively organize practical courses related to energy resource engineering majors with industry, and to cultivate field application and practical ability through various exercises in actual industrial sites.

닫기
3/1학기 전필 4134063
자원처리및실험 (Mineral Processing and Laboratory)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134063
  • 교과목명 : 자원처리및실험 (Mineral Processing and Laborator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2-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파쇄 및 분쇄, 분립, 중력선별, 저력선별, 정전선별, 침출, 배소 및 고액분리에 관여하는 전기적-화학적 광물의 선별 원리에 대하여 강의한다.

    • English

      Study on principal process for the recovery of valuable components from minerals such as crushing/grinding, physical separation, hydrometallurgy, thermal treatment and electrochemistry.

    닫기
3 2 2 상세보기
  • 국문

    파쇄 및 분쇄, 분립, 중력선별, 저력선별, 정전선별, 침출, 배소 및 고액분리에 관여하는 전기적-화학적 광물의 선별 원리에 대하여 강의한다.

  • English

    Study on principal process for the recovery of valuable components from minerals such as crushing/grinding, physical separation, hydrometallurgy, thermal treatment and electrochemistry.

닫기
3/1학기 전필 4134100
암반공학및실험 (Rock Mechanics and Laboratory)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134100
  • 교과목명 : 암반공학및실험 (Rock Mechanics and Laborator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2-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암석 및 암반의 물리적, 역학적 성질과 공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실내 및 현장시험, 응력과 변형률의 관계, 암석 및 암반의 강도와 항복, 탄성 및 비탄성적 성질, 불연속면 거동특성 등에 관한 이론과 실험을 강의한다.

    • English

      This class includes 2-credit hour lecture course and 2-credit hour lab course. The lecture course explores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rock, relationship of stress and strain, rock joints behavior, and so forth. In the lab course, students will group themselves and join various rock mechanical tests.

    닫기
3 2 2 상세보기
  • 국문

    암석 및 암반의 물리적, 역학적 성질과 공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실내 및 현장시험, 응력과 변형률의 관계, 암석 및 암반의 강도와 항복, 탄성 및 비탄성적 성질, 불연속면 거동특성 등에 관한 이론과 실험을 강의한다.

  • English

    This class includes 2-credit hour lecture course and 2-credit hour lab course. The lecture course explores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rock, relationship of stress and strain, rock joints behavior, and so forth. In the lab course, students will group themselves and join various rock mechanical tests.

닫기
3/1학기 전선 4134110
열과에너지시스템의이해 (Understanding Heat and Energy Systems)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4110
  • 교과목명 : 열과에너지시스템의이해 (Understanding Heat and Energy System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에너지 시스템 기본 이해에 필요한 에너지, 열, 일, 엔탈피 및 엔트로피의 기본 개념을 학습한다. 또한 열역학 기본법칙, 그리고 실제 발전 시스템 적용 사례를 강의한다.

    • English

      We will discuss the definition of internal energy, enthalpy, entropy to understand the basics of thermodynamics. Applications of thermodynmics will be address in engineering field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에너지 시스템 기본 이해에 필요한 에너지, 열, 일, 엔탈피 및 엔트로피의 기본 개념을 학습한다. 또한 열역학 기본법칙, 그리고 실제 발전 시스템 적용 사례를 강의한다.

  • English

    We will discuss the definition of internal energy, enthalpy, entropy to understand the basics of thermodynamics. Applications of thermodynmics will be address in engineering fields.

닫기
3/1학기 전선 4134128
스마트마이닝 (Smart Mining)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4128
  • 교과목명 : 스마트마이닝 (Smart Min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지하에 부존되어 있는 광물자원을 고도의 기술을 이용하여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채광하기 위한 공학적 기술과 이와 관련되는 장비, 공법 등을 강의하며, IoT, AI, Big Data 등의 4차산업혁명 기술이 적용된 디지털 광산 시스템을 소개한다.

    • English

      The lecture is given on minng engineering technology and related equipment and methods to use cutting-edge technology to safely and efficiently exploit underground mineral resource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지하에 부존되어 있는 광물자원을 고도의 기술을 이용하여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채광하기 위한 공학적 기술과 이와 관련되는 장비, 공법 등을 강의하며, IoT, AI, Big Data 등의 4차산업혁명 기술이 적용된 디지털 광산 시스템을 소개한다.

  • English

    The lecture is given on minng engineering technology and related equipment and methods to use cutting-edge technology to safely and efficiently exploit underground mineral resources.

닫기
3/1학기 전선 4134130
환경지구화학 (Environmental Geochemistry)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4130
  • 교과목명 : 환경지구화학 (Environmental Geochemistr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다양한 원소들의 존재형태와 순환과정을 이해하고 인간의 활동이 지구환경에서 원소의 순환에 미치는 영향을 공부한다.

    • English

      This course studies the effects of natural and anthropogenic geochemical processes on the environment, based on geochemical behaviors and cycles of various element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다양한 원소들의 존재형태와 순환과정을 이해하고 인간의 활동이 지구환경에서 원소의 순환에 미치는 영향을 공부한다.

  • English

    This course studies the effects of natural and anthropogenic geochemical processes on the environment, based on geochemical behaviors and cycles of various elements.

닫기
3/1학기 전선 4134138
물리탐사자료분석및설계 (Geophysical Data Analysis and Design)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4138
  • 교과목명 : 물리탐사자료분석및설계 (Geophysical Data Analysis and Desig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1-0-(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탄성파 탐사 자료 처리를 위해 탄성파 이론 및 컴퓨터 모델링을 통한 분석을 수행하고 이를 실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설계 기술 습득

    • English

      Performing various analysis through acoustic wave theory and computer modeling, and design technology that can be used in the actual field is acquired to process the elastic wave exploration data

    닫기
3 1 0 (2) 상세보기
  • 국문

    탄성파 탐사 자료 처리를 위해 탄성파 이론 및 컴퓨터 모델링을 통한 분석을 수행하고 이를 실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설계 기술 습득

  • English

    Performing various analysis through acoustic wave theory and computer modeling, and design technology that can be used in the actual field is acquired to process the elastic wave exploration data

닫기
3/1학기 전선 4134147
에너지자원경제성평가 (Energy Resource Economic Evaluation)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4147
  • 교과목명 : 에너지자원경제성평가 (Energy Resource Economic Evaluatio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에너지자원경제성평가는 에너지자원 개발 및 투자 사업의 경제적 타당성을 분석하고 평가하는 방법론을 학습하는 교과목이다. 현금흐름분석, 할인율 결정, 순현재가치(NPV), 내부수익률(IRR) 등 기본적인 경제성 평가기법을 이해하고, 자원가격 전망, 생산량 추정, 비용구조 분석, 리스크 평가 등 자원사업의 특수성을 반영한 평가요소들을 학습한다. 또한 실제 에너지자원 프로젝트 사례를 통해 경제성 평가 모델 구축, 시나리오 분석, 민감도 분석 등을 실습하여 실무적 평가능력을 배양한다.

    • English

      Energy Resource Economic Evaluation is a course that teaches methodologies for analyzing and evaluating the economic feasibility of energy resource development and investment projects. Students learn basic economic evaluation techniques including cash flow analysis, determination of discount rates, Net Present Value (NPV), and Internal Rate of Return (IRR), while studying evaluation factors that reflect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resource projects such as resource price forecasting, production estimation, cost structure analysis, and risk assessment. Furthermore, students develop practical evaluation skills through hands-on experience with actual energy resource project cases, including building economic evaluation models, scenario analysis, and sensitivity analysi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에너지자원경제성평가는 에너지자원 개발 및 투자 사업의 경제적 타당성을 분석하고 평가하는 방법론을 학습하는 교과목이다. 현금흐름분석, 할인율 결정, 순현재가치(NPV), 내부수익률(IRR) 등 기본적인 경제성 평가기법을 이해하고, 자원가격 전망, 생산량 추정, 비용구조 분석, 리스크 평가 등 자원사업의 특수성을 반영한 평가요소들을 학습한다. 또한 실제 에너지자원 프로젝트 사례를 통해 경제성 평가 모델 구축, 시나리오 분석, 민감도 분석 등을 실습하여 실무적 평가능력을 배양한다.

  • English

    Energy Resource Economic Evaluation is a course that teaches methodologies for analyzing and evaluating the economic feasibility of energy resource development and investment projects. Students learn basic economic evaluation techniques including cash flow analysis, determination of discount rates, Net Present Value (NPV), and Internal Rate of Return (IRR), while studying evaluation factors that reflect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resource projects such as resource price forecasting, production estimation, cost structure analysis, and risk assessment. Furthermore, students develop practical evaluation skills through hands-on experience with actual energy resource project cases, including building economic evaluation models, scenario analysis, and sensitivity analysis.

닫기
3/1학기 전선 4134153
석유가스공학과탄소저장 (Petroleum Engineering and Carbon Storage)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4153
  • 교과목명 : 석유가스공학과탄소저장 (Petroleum Engineering and Carbon Storag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탄소중립 대응기술인 이산화탄소 지중저장은 폐유전, 염대수층에서 이루어지며, 석유공학기술에 활용된다. 석유와 천연가스를 생산하는 기술은 저류층에서의 다상유체거동에 관한 전공지식을 요구하며, 탄소 지중저장도 동일한 공학기술의 이해가 필요하다. 지하 유체의 거동, 해석에 관한 전공지식을 중심으로 매장량과 저장량 평가, 유동방정식, 석유공학, 천연가스공학, 저류공학의 기초를 학습한다.

    • English

      CO2 geological storage, one of cut-edge carbon neutral technologies, is carried out in depleted oil and gas reservoirs as well as saline aquifers, which is mainly based on petroleum engineering. Both of reservoir engineering and carbon geological storage require the same knowledge related to the detailed characterization for multiphase flow occurred in the subsurface media. Focusing on major knowledge on analyzing subsurface multiphase fluids, the students can learn the fundamentals of reserves and storable capacity, flow equation, and reservoir engineering.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탄소중립 대응기술인 이산화탄소 지중저장은 폐유전, 염대수층에서 이루어지며, 석유공학기술에 활용된다. 석유와 천연가스를 생산하는 기술은 저류층에서의 다상유체거동에 관한 전공지식을 요구하며, 탄소 지중저장도 동일한 공학기술의 이해가 필요하다. 지하 유체의 거동, 해석에 관한 전공지식을 중심으로 매장량과 저장량 평가, 유동방정식, 석유공학, 천연가스공학, 저류공학의 기초를 학습한다.

  • English

    CO2 geological storage, one of cut-edge carbon neutral technologies, is carried out in depleted oil and gas reservoirs as well as saline aquifers, which is mainly based on petroleum engineering. Both of reservoir engineering and carbon geological storage require the same knowledge related to the detailed characterization for multiphase flow occurred in the subsurface media. Focusing on major knowledge on analyzing subsurface multiphase fluids, the students can learn the fundamentals of reserves and storable capacity, flow equation, and reservoir engineering.

닫기
3/2학기 전선 4134047
자원처리공정설계 (Mineral Processing Design)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4047
  • 교과목명 : 자원처리공정설계 (Mineral Processing Desig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1-0-(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광물에 따라 적합한 선별 공정을 선택, 설계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 English

      Lecture on process design for the concentration of minerals with the change of minerals conditions.

    닫기
3 1 0 (2) 상세보기
  • 국문

    광물에 따라 적합한 선별 공정을 선택, 설계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 English

    Lecture on process design for the concentration of minerals with the change of minerals conditions.

닫기
3/2학기 전선 4134090
터널굴착및설계 (Tunnel Excavation and Design)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4090
  • 교과목명 : 터널굴착및설계 (Tunnel Excavation and Desig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1-0-(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암반 내 터널 및 지하공간 설계에 필요한 입력변수들의 수집 및 분석, 암반의 공학적 분류, 계측 및 해석에 의한 설계 방법, 터널 지보의 이론 및 시공방법 등에 대한 이론을 학습하며, 지반 조사로부터 설계정수의 도출, 설계 도면 작성 등에 이르는 전체의 설계 과정을 실무적으로 강의한다.

    • English

      In this course , students learn theories about the selection and analysis of input variables required to design tunnels and underground spaces in rock mass, rock mass classification engineering, measurement and analysis process design, tunnel support theory and construction system. Practical lectures are given on the whole design process, from ground investigation to design parameter derivation and design drawings.

    닫기
3 1 0 (2) 상세보기
  • 국문

    암반 내 터널 및 지하공간 설계에 필요한 입력변수들의 수집 및 분석, 암반의 공학적 분류, 계측 및 해석에 의한 설계 방법, 터널 지보의 이론 및 시공방법 등에 대한 이론을 학습하며, 지반 조사로부터 설계정수의 도출, 설계 도면 작성 등에 이르는 전체의 설계 과정을 실무적으로 강의한다.

  • English

    In this course , students learn theories about the selection and analysis of input variables required to design tunnels and underground spaces in rock mass, rock mass classification engineering, measurement and analysis process design, tunnel support theory and construction system. Practical lectures are given on the whole design process, from ground investigation to design parameter derivation and design drawings.

닫기
3/2학기 전선 4134129
석유시추와생산시스템 (Drilling Engineering and Petroleum Production System)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4129
  • 교과목명 : 석유시추와생산시스템 (Drilling Engineering and Petroleum Production System)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석유 자원의 개발과 생산과정에 필수적인 시추와 생산공학을 학습한다. 시추의 기본이론과 장비, 육상 및 해상 시추, 생산시스템 구성, 생산운영을 다룬다.

    • English

      This class teaches the basic knowledge of drilling. It covers the facilities for drilling, well control, mud engineering, and casing design. It includes some exercises to understand the field operations. For the petroleum production engineering, it covers nodal analysis to design the production system.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석유 자원의 개발과 생산과정에 필수적인 시추와 생산공학을 학습한다. 시추의 기본이론과 장비, 육상 및 해상 시추, 생산시스템 구성, 생산운영을 다룬다.

  • English

    This class teaches the basic knowledge of drilling. It covers the facilities for drilling, well control, mud engineering, and casing design. It includes some exercises to understand the field operations. For the petroleum production engineering, it covers nodal analysis to design the production system.

닫기
3/2학기 전선 4134139
지오사이언스통계학 (Geoscience Statistics)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4139
  • 교과목명 : 지오사이언스통계학 (Geoscience Statistic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딥러닝과 AI 기반의 모델링을 지오사이언스 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공간 통계 이론에 대해 학습하고 실제 컴퓨터 모델링을 통해 분석 수행

    • English

      Learning about Geo-spatial statistics theory to apply deep learning and AI-based modeling to the field of geoscience and perform analysis through actual computer modeling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딥러닝과 AI 기반의 모델링을 지오사이언스 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공간 통계 이론에 대해 학습하고 실제 컴퓨터 모델링을 통해 분석 수행

  • English

    Learning about Geo-spatial statistics theory to apply deep learning and AI-based modeling to the field of geoscience and perform analysis through actual computer modeling

닫기
3/2학기 전선 4134149
에너지자원안보정책 (Energy Resources Security and Policy)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4149
  • 교과목명 : 에너지자원안보정책 (Energy Resources Security and Polic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에너지자원 안보정책은 국가 에너지자원 안보의 개념과 정책적 대응방안을 학습하는 교과목이다. 에너지자원의 안정적 확보, 공급망 리스크 관리, 에너지 수급 위기대응, 지정학적 갈등과 에너지 무기화 등 에너지자원 안보 관련 주요 이슈들을 이해하고, 에너지원 다각화, 비축, 자주개발, 국제협력 등 에너지자원 안보 강화를 위한 정책수단들을 분석한다. 또한 기후변화 대응과 에너지전환 과정에서 발생하는 새로운 에너지자원 안보 도전과제들을 검토하고 이에 대한 전략적 해결방안을 모색한다.

    • English

      Energy Resources Security and Policy is a course that explores the concepts of national energy security and policy responses. Students understand major energy security issues including stable procurement of energy resources, supply chain risk management, energy crisis response, geopolitical conflicts and weaponization of energy resources. The course analyzes policy instruments for strengthening energy security such as energy source diversification, stockpiling, independent development,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Furthermore, it examines new energy security challenges arising from climate change response and energy transition processes, and explores strategic solutions to address these challenge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에너지자원 안보정책은 국가 에너지자원 안보의 개념과 정책적 대응방안을 학습하는 교과목이다. 에너지자원의 안정적 확보, 공급망 리스크 관리, 에너지 수급 위기대응, 지정학적 갈등과 에너지 무기화 등 에너지자원 안보 관련 주요 이슈들을 이해하고, 에너지원 다각화, 비축, 자주개발, 국제협력 등 에너지자원 안보 강화를 위한 정책수단들을 분석한다. 또한 기후변화 대응과 에너지전환 과정에서 발생하는 새로운 에너지자원 안보 도전과제들을 검토하고 이에 대한 전략적 해결방안을 모색한다.

  • English

    Energy Resources Security and Policy is a course that explores the concepts of national energy security and policy responses. Students understand major energy security issues including stable procurement of energy resources, supply chain risk management, energy crisis response, geopolitical conflicts and weaponization of energy resources. The course analyzes policy instruments for strengthening energy security such as energy source diversification, stockpiling, independent development,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Furthermore, it examines new energy security challenges arising from climate change response and energy transition processes, and explores strategic solutions to address these challenges..

닫기
3/2학기 전선 4134152
취업·창업과꿈-설계 (Career Choice and Startup)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4152
  • 교과목명 : 취업·창업과꿈-설계 (Career Choice and Startup)
  • 학점-강의-실습(설계) : 1-1-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취업·창업과 꿈-설계는 내가 선택한 전공 안에서 진로에 대한 고민과 탐색을 진행하는 교과목입니다.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바탕으로 전공을 이해하고, 전공 관련 직업을 탐색·설정·준비하는 전체 과정을 다룹니다.

    • English

      Career Choice and Startup provides a change of sharing about concerns about career path within each major and exploring. This course covers the entire process of understanding, exploring, establishing, preparing career path within each major based on their aptitude and interests.

    닫기
1 1 0 상세보기
  • 국문

    취업·창업과 꿈-설계는 내가 선택한 전공 안에서 진로에 대한 고민과 탐색을 진행하는 교과목입니다.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바탕으로 전공을 이해하고, 전공 관련 직업을 탐색·설정·준비하는 전체 과정을 다룹니다.

  • English

    Career Choice and Startup provides a change of sharing about concerns about career path within each major and exploring. This course covers the entire process of understanding, exploring, establishing, preparing career path within each major based on their aptitude and interests.

닫기
3/2학기 전선 4134154
에너지공학개론 (Introduction to Energy Engineering )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4154
  • 교과목명 : 에너지공학개론 (Introduction to Energy Engineering )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에너지 공학의 기초에 대해 학습한다. 신에너지 물질인 가스하이드레이트의 구조, 물성, 특성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배운다. 수소 에너지 공학의 기초 내용을 학습하며,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기술에 대해서 학습한다.

    • English

      This course includes the basics of energy engineering. Basic understanding of gas hydrate, such as crystal structur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will be learned. Hydrogen engineering including fuel cell technology will be also included. Finally, carbon dioxide capture and sequestration will be discussed.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에너지 공학의 기초에 대해 학습한다. 신에너지 물질인 가스하이드레이트의 구조, 물성, 특성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배운다. 수소 에너지 공학의 기초 내용을 학습하며,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기술에 대해서 학습한다.

  • English

    This course includes the basics of energy engineering. Basic understanding of gas hydrate, such as crystal structur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will be learned. Hydrogen engineering including fuel cell technology will be also included. Finally, carbon dioxide capture and sequestration will be discussed.

닫기
3/2학기 전선 4134156
광해방지공학 (Mine Reclamation Engineering)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4156
  • 교과목명 : 광해방지공학 (Mine Reclamation Engineer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광산활동이 유발하는 다양한 환경문제 (광물찌꺼기, 산성광산배수, 토양오염, 지반침하 등)에 대해 학습하고 효과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기위한 대응 및 복원방법을 이해한다.

    • English

      Explore the environmental challenges caused by mining activities, including issues like mineral tailings, acid mine drainage, soil contamination, and ground subsidence. Understanding of effective rehabilitation methods to address and mitigate these problem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광산활동이 유발하는 다양한 환경문제 (광물찌꺼기, 산성광산배수, 토양오염, 지반침하 등)에 대해 학습하고 효과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기위한 대응 및 복원방법을 이해한다.

  • English

    Explore the environmental challenges caused by mining activities, including issues like mineral tailings, acid mine drainage, soil contamination, and ground subsidence. Understanding of effective rehabilitation methods to address and mitigate these problems.

닫기
4/1학기 전선 4134077
미래에너지공학 (Future Energy Resources Engineering)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4077
  • 교과목명 : 미래에너지공학 (Future Energy Resources Engineer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석탄, 석유, 원자력 및 천연가스가 아닌 태양에너지, 바이오매스, 풍력, 소수력, 연료전지, 석탄의 액화, 가스화, 해양에너지, 폐기물에너지 등의 재생에너지와 신 에너지에 대해 이론과 현장 경험을 통해 학습을 수행한다.

    • English

      Energy sources including non-renewable and renewable sources will be addressed in this course. Mechanism of electricity generation from several energy sources will be discussed.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석탄, 석유, 원자력 및 천연가스가 아닌 태양에너지, 바이오매스, 풍력, 소수력, 연료전지, 석탄의 액화, 가스화, 해양에너지, 폐기물에너지 등의 재생에너지와 신 에너지에 대해 이론과 현장 경험을 통해 학습을 수행한다.

  • English

    Energy sources including non-renewable and renewable sources will be addressed in this course. Mechanism of electricity generation from several energy sources will be discussed.

닫기
4/1학기 전선 4134091
화학야금공학 (Chemical Metallurgy)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4091
  • 교과목명 : 화학야금공학 (Chemical Metallurg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광물로부터 유용원소를 추출, 정제하는데 요구되는 공정기술에 대한 이론 및 방법을 습득한다. 특히, 습식화학반응 해석에 요구되는 반응열역학, 반응평형 및 속도론을 이해하고 이를 통한 화학반응 설정 및 해석방법에 대해 강의한다.

    • English

      Study on principal theory and its applied technology for obtaining metals from their minerals using reactions of metals. Especially, this lecture deals with thermodynamics, reaction equilibrium and kinetics required for the analysis of hydrometallurgical reaction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광물로부터 유용원소를 추출, 정제하는데 요구되는 공정기술에 대한 이론 및 방법을 습득한다. 특히, 습식화학반응 해석에 요구되는 반응열역학, 반응평형 및 속도론을 이해하고 이를 통한 화학반응 설정 및 해석방법에 대해 강의한다.

  • English

    Study on principal theory and its applied technology for obtaining metals from their minerals using reactions of metals. Especially, this lecture deals with thermodynamics, reaction equilibrium and kinetics required for the analysis of hydrometallurgical reactions.

닫기
4/1학기 전선 4134093
발파진동학및설계 (Blasting Engineering and Design)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4093
  • 교과목명 : 발파진동학및설계 (Blasting Engineering and Desig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1-0-(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발파의 기본인 화약학의 기초이론, 터널발파 및 노천발파의 원리, 발파에 수반되는 소음, 진동, 비산의 발생원리 및 저감방안 등에 대하여 강의하며, 발파공학의 기본원리를 바탕으로 S/W를 이용한 발파패턴도 설계를 직접 수행함으로써 발파의 체계를 습득토록 한다.

    • English

      This class includes 1-credit hour lecture course and 2-credit hour design course. The lecture course explores the fundamental theories of explosives, the principals of tunnel blasting and surface blasting, noise and vibration from blasting operation, and redution methods for blasting hazard. In design course, a software will be distributed to students for designing the real blast pattern.

    닫기
3 1 0 (2) 상세보기
  • 국문

    발파의 기본인 화약학의 기초이론, 터널발파 및 노천발파의 원리, 발파에 수반되는 소음, 진동, 비산의 발생원리 및 저감방안 등에 대하여 강의하며, 발파공학의 기본원리를 바탕으로 S/W를 이용한 발파패턴도 설계를 직접 수행함으로써 발파의 체계를 습득토록 한다.

  • English

    This class includes 1-credit hour lecture course and 2-credit hour design course. The lecture course explores the fundamental theories of explosives, the principals of tunnel blasting and surface blasting, noise and vibration from blasting operation, and redution methods for blasting hazard. In design course, a software will be distributed to students for designing the real blast pattern.

닫기
4/1학기 전선 4134133
핸즈온딥러닝 (Hands-on Deep Learning)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4133
  • 교과목명 : 핸즈온딥러닝 (Hands-on Deep Learn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에너지자원공학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데이터사이언스, 기계학습, 머신러닝을 학습한다. 오픈소스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코딩을 수행함으로써 석유공학 문제해결과정을 강의한다.

    • English

      This course covers the exercises using deep learning algorithms to solve the nonlinear problems in the field of energy resources engineering. It can use open-source codes to analyze the complex problems related to petroleum data analytic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에너지자원공학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데이터사이언스, 기계학습, 머신러닝을 학습한다. 오픈소스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코딩을 수행함으로써 석유공학 문제해결과정을 강의한다.

  • English

    This course covers the exercises using deep learning algorithms to solve the nonlinear problems in the field of energy resources engineering. It can use open-source codes to analyze the complex problems related to petroleum data analytics.

닫기
4/1학기 전선 4134140
물리탐사모델링 (Geophysical Modeling)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4140
  • 교과목명 : 물리탐사모델링 (Geophysical Model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물리탐사 자료 분석에 필수적인 컴퓨터 모델링 및 역산 기술에 대한 이론을 바탕으로 실제 자료 처리를 위한 모델링 방법론에 대해 강의

    • English

      Lectures on modeling methodology for actual data processing based on the theory of computer modeling and inverse technology essential for geophysical exploration data analysi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물리탐사 자료 분석에 필수적인 컴퓨터 모델링 및 역산 기술에 대한 이론을 바탕으로 실제 자료 처리를 위한 모델링 방법론에 대해 강의

  • English

    Lectures on modeling methodology for actual data processing based on the theory of computer modeling and inverse technology essential for geophysical exploration data analysis

닫기
4/1학기 전선 4134145
스마트굴착공학 (Smart Excavation Method)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4145
  • 교과목명 : 스마트굴착공학 (Smart Excavation Method)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TBM(Tunnel Boring Machine)과 로드헤더 등을 이용한 지하공간의 스마트 굴착에 대해서 학습하여, IoT, AI, Big Data 등의 4차산업혁명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굴착 장비의 분류, 굴착 원리, 현장운영 방안에 대한 내용을 강의하고, 실제 현장에서 적용된 사례를 통해서 스마트 굴착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를 높인다.

    • English

      Students learn about smart excavation of underground spaces using TBM (Tunnel Boring Machine) and roadheaders. It will give lectures on the classification, excavation principles, and on-site operation plans of smart excavation equipment applied with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 such as IoT, AI, and Big Data. It enhances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smart excavation by learning cases applied in the actual field.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TBM(Tunnel Boring Machine)과 로드헤더 등을 이용한 지하공간의 스마트 굴착에 대해서 학습하여, IoT, AI, Big Data 등의 4차산업혁명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굴착 장비의 분류, 굴착 원리, 현장운영 방안에 대한 내용을 강의하고, 실제 현장에서 적용된 사례를 통해서 스마트 굴착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를 높인다.

  • English

    Students learn about smart excavation of underground spaces using TBM (Tunnel Boring Machine) and roadheaders. It will give lectures on the classification, excavation principles, and on-site operation plans of smart excavation equipment applied with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 such as IoT, AI, and Big Data. It enhances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smart excavation by learning cases applied in the actual field.

닫기
4/1학기 전선 4134146
국제자원시장분석 (Global Resource Market Analysis)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4146
  • 교과목명 : 국제자원시장분석 (Global Resource Market Analysi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국제자원시장분석은 글로벌 에너지자원 시장의 구조와 동향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방법론을 학습하는 교과목이다. 국제 석유, 가스, 석탄, 우라늄 등 주요 에너지자원의 수급구조, 가격결정 메커니즘, 거래제도를 이해하고, 자원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지정학적 요인, 기술혁신, 환경규제, 투자동향 등을 분석한다. 또한 시장데이터 분석, 가격예측 모델링, 시장위험 평가 등의 실무적 분석기법을 학습하여 국제자원시장의 변화를 진단하고 전망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 English

      Global Resource Market Analysis is a course that teaches methodologies for understanding and analyzing the structure and trends of global energy resource markets. Students study the supply-demand structure, price determination mechanisms, and trading systems of major energy resources including international oil, gas, coal, and uranium. The course analyzes factors affecting resource markets such as geopolitical factors, technological innovation, environmental regulations, and investment trends. Furthermore, students develop the ability to diagnose and forecast changes in international resource markets by learning practical analytical techniques including market data analysis, price forecasting modeling, and market risk assessment.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국제자원시장분석은 글로벌 에너지자원 시장의 구조와 동향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방법론을 학습하는 교과목이다. 국제 석유, 가스, 석탄, 우라늄 등 주요 에너지자원의 수급구조, 가격결정 메커니즘, 거래제도를 이해하고, 자원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지정학적 요인, 기술혁신, 환경규제, 투자동향 등을 분석한다. 또한 시장데이터 분석, 가격예측 모델링, 시장위험 평가 등의 실무적 분석기법을 학습하여 국제자원시장의 변화를 진단하고 전망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 English

    Global Resource Market Analysis is a course that teaches methodologies for understanding and analyzing the structure and trends of global energy resource markets. Students study the supply-demand structure, price determination mechanisms, and trading systems of major energy resources including international oil, gas, coal, and uranium. The course analyzes factors affecting resource markets such as geopolitical factors, technological innovation, environmental regulations, and investment trends. Furthermore, students develop the ability to diagnose and forecast changes in international resource markets by learning practical analytical techniques including market data analysis, price forecasting modeling, and market risk assessment.

닫기
4/2학기 전선 4134060
산업체현장실습3 (Field Training 3)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4060
  • 교과목명 : 산업체현장실습3 (Field Training 3)
  • 학점-강의-실습(설계) : 8-0-16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에너지자원공학전공에서 다루는 실무관련 과정을 산업체와 연계하여 종합적으로 구성, 실제 산업현장에서의 다양한 실습을 통하여 현장적용 및 실무능력을 배양한다.

    • English

      This course is designed to comprehensively organize practical courses related to energy resource engineering majors with industry, and to cultivate field application and practical ability through various exercises in actual industrial sites.

    닫기
8 0 16 상세보기
  • 국문

    에너지자원공학전공에서 다루는 실무관련 과정을 산업체와 연계하여 종합적으로 구성, 실제 산업현장에서의 다양한 실습을 통하여 현장적용 및 실무능력을 배양한다.

  • English

    This course is designed to comprehensively organize practical courses related to energy resource engineering majors with industry, and to cultivate field application and practical ability through various exercises in actual industrial sites.

닫기
4/2학기 전선 4134103
지반구조해석 (Underground Structure Analysis)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4103
  • 교과목명 : 지반구조해석 (Underground Structure Analysi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지하자원개발을 위한 작업용 터널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지반구조물의 안전 설계와 굴착을 위한 구조적 안정성 평가에 대해 수치해석기법을 위주로 강의한다.

    • English

      In this class, the safe design for underground facilities, especially for resourse development, will be studied with a variety of numerical analysis method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지하자원개발을 위한 작업용 터널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지반구조물의 안전 설계와 굴착을 위한 구조적 안정성 평가에 대해 수치해석기법을 위주로 강의한다.

  • English

    In this class, the safe design for underground facilities, especially for resourse development, will be studied with a variety of numerical analysis methods.

닫기
4/2학기 전선 4134143
방사성폐기물관리 (Management of Radioactive Waste)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4143
  • 교과목명 : 방사성폐기물관리 (Management of Radioactive Wast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동위원소와 핵종원소의 개념을 이해하고 원자력 발전소와 노후 원전 해체과정에서 발생하는 방사성 폐기물의 처리 및 처분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 English

      Understand the concepts of isotopes and radionuclides, and learn how to treat and dispose of radioactive waste generated from the decommissioning of nuclear power plant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동위원소와 핵종원소의 개념을 이해하고 원자력 발전소와 노후 원전 해체과정에서 발생하는 방사성 폐기물의 처리 및 처분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 English

    Understand the concepts of isotopes and radionuclides, and learn how to treat and dispose of radioactive waste generated from the decommissioning of nuclear power plants

닫기
4/2학기 전선 4134144
거대에너지저장 (Large Energy Storage System)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4144
  • 교과목명 : 거대에너지저장 (Large Energy Storage System)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신재생 에너지의 품질과 사용효율을 제고할 수 있는 거대에너지 저장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다양한 방식의 거대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대한 이해와 거대에너지 저장 시설의 부지조사, 설계, 시공에 대한 기술을 학습한다.

    • English

      In this class, we will examine the necessity of large energy storage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and efficiency of renewable energy. Students will improve their understanding of various types of large energy storage systems and learn techniques for site investigation, design, and construction of large energy storage facilitie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신재생 에너지의 품질과 사용효율을 제고할 수 있는 거대에너지 저장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다양한 방식의 거대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대한 이해와 거대에너지 저장 시설의 부지조사, 설계, 시공에 대한 기술을 학습한다.

  • English

    In this class, we will examine the necessity of large energy storage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and efficiency of renewable energy. Students will improve their understanding of various types of large energy storage systems and learn techniques for site investigation, design, and construction of large energy storage facilities.

닫기
4/2학기 전선 4134155
수소저장·운송기술 (Hydrogen Storage and Transporation Technology)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4155
  • 교과목명 : 수소저장·운송기술 (Hydrogen Storage and Transporation Technolog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수소 저장 기술은 수소의 물리적인 성상에 따라 고체 저장, 액체 저장, 기체 저장 등으로 구분된다. 이 밖에도 다른 물질과의 결합을 통해 저장하는 방법이 있으며, 이 강의에서는 그 내용을 학습한다. 또한, 저장방법에 기반한 운송기술도 학습한다.

    • English

      Hydrogen storage technology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such as solid, liquid, and gaseous hydrogen storage. In addition, complex structure of materials can store hydrogen. This course includes the basic understanding of hydroge storage technology. We also deal the hydrogen tranporation technology.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수소 저장 기술은 수소의 물리적인 성상에 따라 고체 저장, 액체 저장, 기체 저장 등으로 구분된다. 이 밖에도 다른 물질과의 결합을 통해 저장하는 방법이 있으며, 이 강의에서는 그 내용을 학습한다. 또한, 저장방법에 기반한 운송기술도 학습한다.

  • English

    Hydrogen storage technology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such as solid, liquid, and gaseous hydrogen storage. In addition, complex structure of materials can store hydrogen. This course includes the basic understanding of hydroge storage technology. We also deal the hydrogen tranporation technology.

닫기
4/전학기 전필 4134050
종합설계 (Capstone Design)
  • 학년/학기 : 4/전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134050
  • 교과목명 : 종합설계 (Capstone Desig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0-0-(3)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에너지자원공학과에서 다루는 실무관련 설계과정을 산업체와 연계하여 종합적으로 구성, 강의하고 현장적용 및 실무능력을 배양한다.

    • English

      This course is designed to comprehensively organize practical courses related to energy resource engineering majors, and to cultivate field application and practical ability through various exercises in actual industrial sites.

    닫기
3 0 0 (3) 상세보기
  • 국문

    에너지자원공학과에서 다루는 실무관련 설계과정을 산업체와 연계하여 종합적으로 구성, 강의하고 현장적용 및 실무능력을 배양한다.

  • English

    This course is designed to comprehensively organize practical courses related to energy resource engineering majors, and to cultivate field application and practical ability through various exercises in actual industrial sites.

닫기
  • 국문

  • English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