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프로그램 학위명칭
강원대학교 문화예술·공과대학 에너지자원공학과는 2005년부터 한국공학교육인증원의 기준에 의거하여 공학교육인증제도를 운영하는 프로그램(이하 ‘인증제도 운영 프로그램’)과 공학교육인증제도를 운영하지 않는 프로그램(이하 ‘일반프로그램’)을 구분하여 운영 중입니다. KEC2000 인증기준에 근거하여 2007년 5월 신규인증 평가를 시작으로, KEC2005 인증기준에 근거하여 인증제도 운영 프로그램은 ‘에너지·자원공학심화 프로그램(Energy and Resources Engineering Program)’, 일반프로그램은 ‘에너지·자원공학 프로그램(Engineering Program)’으로 명명하고 있으며, 프로그램 학위 명칭은 다음과 같습니다.
인증학위 명칭
학사행정단위 | 학위 명칭 | ||
---|---|---|---|
에너지자원공학과 | 인증프로그램 | 국문명 | 공학사 (에너지·자원공학심화) |
영문명 | Bachelor of Science in Energy and Resources Engineering | ||
일반프로그램 | 국문명 | 공학사 | |
영문명 | Bachelor of Science in Engineering |
2. 프로그램 운영방식
에너지·자원공학심화 프로그램은 교내에서 주간교육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학기는 봄과 가을의 정규학기(15주로 구성), 여름과 겨울의 계절학기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 프로그램인 에너지·자원공학 프로그램의 경우도 교내에서 주간교육으로 동일한 운영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에너지·자원공학심화 프로그램 졸업학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에너지·자원공학심화 프로그램 졸업학점
구분 | 2009학년도교육과정 이전 | 2010학년도교육과정 이후 |
---|---|---|
MSC (수학, 자연과학 및 기초전산학) |
24학점 이상 | 24학점 이상 |
전공이론 및 설계 | 71학점 이상 (단, 설계과목 12학점 이상 수강) (단, 전공필수 교과목은 모두 수강) (단, 인증필수 교과목은 모두 수강) (단, 인증필수 교과목은 프로그램위원회에서 정함) |
72학점 이상 (단, 설계과목 12학점 이상 수강) (단, 전공필수 교과목은 모두 수강) (단, 인증필수 교과목은 모두 수강) (단, 인증필수 교과목은 프로그램위원회에서 정함) |
총 95학점 이상 | 총 96학점 이상 |
3. 프로그램 변경방법
심화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이 일반프로그램으로 변경하여 졸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수료 전 최소 1학기 전에 신청하여야 합니다. 단, 2016학년도 이후 신입생은 다음 각 호에 해당되는 경우에만 일반프로그램으로 변경 신청할 수 있으며, 예외조항 적용자는 졸업시까지 해당조항의 졸업조건을 충족하여야만 합니다.
[예외조항 적용자 : 1. 부전공자 2. 복수전공자 3. 교직이수자 4. ROTC 군사 훈련생 5. 외국인 학생 6. 학·석사연계과정 학생 7. 소속 심화프로그램 운영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자]
4. 프로그램 학습성과 성취도 평가체계
에너지·자원공학심화 프로그램의 학습성과는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한국공학교육인정원에서 제시하는 10가지 학습성과에 2개의 학습성과를 추가하여 총 12개를 설정하였으며, 학습성과 수준의 달성을 위해 적절한 공학주제 교과과정을 수립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프로그램 학습성과 항목별 평가체계
학습성과 | 수행준거 | |
---|---|---|
1 기본지식 | 수학, 기초과학, 공학의 지식과 정보 기술을 공학문제해결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 | 수학, 기초과학, 공학의 지식과 원리, 정보기술을 에너지·자원공학 문제에 적용할 수 있다 |
2 자료시험 | 데이터를 이해 분석하고, 주어진 사실이나 가설을 기반으로 실험을 수행하여 확인할 수 있는 능력 | 계측치와 인자간의 관계를 이해하고 계측결과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인자를 논리적으로 찾을 수 있다 |
3 설계능력 | 요구된 현실적 제한조건을 고려하여 시스템, 요소, 공정 등을 설계하고 구현할 수 있는 능력 | 요구된 현실적 제한조건을 인지하여 요구분석, 구현을 할 수 있다 |
4 문제해결 |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공학문제를 정의하여 공식화 할 수 있는 능력 | 정의된 에너지·자원공학문제를 분석하여 적절한 방법을 통해 수식화하여 해결할 수 있다 |
5 실무도구 | 공학문제의 해결 및 실무에 필요한 능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최신정보, 연구결과, 적절한 최신 도구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 | 에너지·자원공학 도구를 활용하여 공학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6 팀웍능력 | 공학문제를 해결하는 복합 학제적 프로젝트 팀의 한 구성원으로서 팀 성과에 기여하고 역할을 해낼 수 있는 능력 | 구성원의 역할 분담 및 평가에 대하여 이해하고 있다 |
7 의사전달 | 다양한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의사소통 할 수 있는 능력 | 발표 또는 자료의 논점을 이해하여 타인에게 효과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
8 평생교육 | 평생교육, 기술환경 변화에 따른 자기계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이에 능동적, 지속적, 자기주도적으로 참여, 학습할 수 있는 능력 | 평생교육에 적극적으로 동참할 수 있는 인식을 갖추며, 동기부여 및 여건조성을 실행할 수 있다 |
9 영향이해 | 공학적 해결방안이 세계, 보건, 안전, 경제, 환경, 지속가능성 및 사회적 상황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 | 현재 변화를 토대로 공학적 해결방안이 미래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인지한다 |
10 시사지식 | 시사적 논점들에 대한 기본지식 | 다양한 시사적 문제에 대한 정보를 수집, 이해하며 논의할 수 있다 |
11 직업윤리 | 공학인으로서의 직업적 책임감, 윤리적 책임, 직업윤리와 사회적 책임을 이해, 인식할 수 있는 능력 | 에너지·자원공학 엔지니어로서 직업적, 도덕적 책임감과 윤리의식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다 |
12 국제협동 | 세계문화에 대한 이해와 국제적으로 협동할 수 있는 능력 | 영문 자료를 이해할 수 있으며, 의사소통할 수 있는 영어 기본능력을 가지고 있다 |
5. 교과과정 이수체계
에너지·자원공학심화 프로그램의 교과과정은 교육목표와 학습성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선후수관계가 명시된 교과목 이수체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2025학년도 교육과정 선후수체계
선이수 과목 | 후수강 과목 | |
---|---|---|
필수 | 일반화학 및 실험1 | 일반화학 및 실험2 |
응용지구화학/ 생지구화학과 바이오에너지/ 광해방지공학 |
||
공업수학1 에너지자원공업수학1 |
공업수학2 에너지자원공업수학2 |
|
자원처리 및 실험 | 자원처리공정설계 | |
물리탐사 및 실험 | 자원물리탐사설계/ 물리탐사공학 및 설계/ 물리탐사자료분석 및 설계 |
|
암반공학 및 실험/암석역학 및 실험 | 발파진동학 및 설계 |
설계교과목에 대한 이수체계
설계교과목은 선후수 이수체계에 따라 기초설계(또는 설계입문) 교과목 선이수 후 기초설계와 종합설계 교과목을 제외한 전공 설계교과목(설계학점 6학점이상)을 이수하여야하며, 최종적으로 종합설계를 이수하여야 함. 단, 전공설계 교과목과 종합설계의 동일학기 수강을 인정함.
2025학년도 교육과정 이수체계도
